-
-
80
피복식물 설명 및 종류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68
질문내용
피복식물이란 무엇이고 종류는 뭐가 있나요?
답변
- 피복식물은 지표면을 피복하기 위해 재배하는 식물로서, 토양침식과 양분 유실 등을 방지하고, 잡초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풀(잡초)을 베거나 뽑아내는 예초작업이 필요 없어 노동력이 줄어들어 경영비용 절감이 가능합니다.
- 피복식물로 개발된 유일한 종류는 과수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들묵새”가 있으나, 바이러스성 병해인 벼 줄무늬마름병의 기주식물로 밝혀져 육지에서는 활용되지 못하고 제주도 감귤농장 일부에서만 활용되고 있습니다. (“벼 줄무늬잎마름병 대발생원인 구명 및 발생예측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결과 들묵새의 감염율이 31.6%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 그 외에 피복 및 녹비작물로 활용되고 있는 종류는 얼치기완두, 헤어리베치, 크림슨클로버, 청보리 등이 있으며, 사용 목적에 적합하도록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피복식물로 개발된 유일한 종류는 과수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들묵새”가 있으나, 바이러스성 병해인 벼 줄무늬마름병의 기주식물로 밝혀져 육지에서는 활용되지 못하고 제주도 감귤농장 일부에서만 활용되고 있습니다. (“벼 줄무늬잎마름병 대발생원인 구명 및 발생예측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결과 들묵새의 감염율이 31.6%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 그 외에 피복 및 녹비작물로 활용되고 있는 종류는 얼치기완두, 헤어리베치, 크림슨클로버, 청보리 등이 있으며, 사용 목적에 적합하도록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피복식물, 피복식물 종류, 피복식물 설명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