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0
제초제 처리 후 효과 없을 때 재처리 여부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70
질문내용
제초제를 처리하고 난 후 효과가 없다면 재처리를 해도 되나요?
답변
- 제초 처리 후 약효가 없는 이유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처리 후 누수, 배수, 강우 등으로 약제가 유실된 경우입니다. 약제 유실은 잔류량이 감소되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재살포 결정이 쉬운 편입니다. 두 번째 이유는 정지 불량, 물관리 불량, 불균일 살포, 처리층 파괴, 약제선택 잘못 등의 사용법 미숙지로 인한 경우입니다. 사용법 잘못은 잔류량 감소를 자신할 수가 없으므로 재살포 결정이 어렵습니다.
- 다만, 토양잔류와 약효 지속기간은 같지 않습니다. 토양 중 제초제의 잔류, 소실과정을 고려해 볼 때, 대부분의 제초제는 처리직후 증발, 광분해 등으로 잔류량이 급격히 감소되고, 다음에도 토양으로 침투, 확산, 흡착 등으로 잔류량이 빠르게 감소됩니다. 나중에는 미생물 분해, 화학적 분해로 잔류량이 서서히 감소됩니다. 대부분의 제초제는 처리하고 15∼20일 정도 지난 후 잔류량은 안전상 문제가 거의 없는 수준이 됩니다. 더구나 다른 계통의 제초제를 처리하면 약해가 크게 우려되지 않습니다.
- 만약 재처리를 하지 않는다면, 금년도 잡초피해에 의한 수량감소와 토양 중에 잡초종자가 많아지므로 오랫동안 피해를 감수해야 하고, 재처리를 한다면 금년도의 제초비용 증가와 혹시 있을 수 있는 약해를 감수해야 합니다.
- 다만, 토양잔류와 약효 지속기간은 같지 않습니다. 토양 중 제초제의 잔류, 소실과정을 고려해 볼 때, 대부분의 제초제는 처리직후 증발, 광분해 등으로 잔류량이 급격히 감소되고, 다음에도 토양으로 침투, 확산, 흡착 등으로 잔류량이 빠르게 감소됩니다. 나중에는 미생물 분해, 화학적 분해로 잔류량이 서서히 감소됩니다. 대부분의 제초제는 처리하고 15∼20일 정도 지난 후 잔류량은 안전상 문제가 거의 없는 수준이 됩니다. 더구나 다른 계통의 제초제를 처리하면 약해가 크게 우려되지 않습니다.
- 만약 재처리를 하지 않는다면, 금년도 잡초피해에 의한 수량감소와 토양 중에 잡초종자가 많아지므로 오랫동안 피해를 감수해야 하고, 재처리를 한다면 금년도의 제초비용 증가와 혹시 있을 수 있는 약해를 감수해야 합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제초제, 제초제 재처리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