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0
전도 사고 예방하는 방법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66
질문내용
전도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 알려주세요.
답변
○ 농업인이 농작업 관련하여 다치는 이유 1위가 넘어짐(전도) 사고이며, 특히 여성과 고령농업인에게서 많이 발생합니다.
○ 작업환경 관리
- 바닥의 패인 곳, 벌어진 틈은 즉시 복구합니다. (복구 전까지 위험표지 설치)
- 이동 공간이나 작업공간의 물건(작업도구, 호스, 줄, 선 등)을 정리정돈 합니다.
- 창고, 축사, 작업장, 계단 등에는 충분한 밝기의 조명을 설치합니다.
- 축사 등 바닥이 항상 젖어 있는 경우는 마찰력이 높은 바닥재를 사용합니다.
- 위험한 장소(사료 더미의 경사, 구덩이, 젖은 곳 등)에는 위험표지를 둡니다.
- 충분한 길이의 호스 등을 사용하여, 바닥 위로 선이 당겨져 있지 않도록 합니다.
- 주요 작업 장소에서는 바닥의 풀을 제거하여 바닥 위 물건들이 잘 보이도록 합니다.
- 평소와 달리 바닥이 젖거나 미끄러워진 경우 즉각적인 제거/완화 조치를 합니다. (묽을 닦거나, 흙으로 덮거나, 빙판에 모래·소금을 뿌리는 등)
○ 안전한 작업화 착용
- 바닥의 마찰력이 높은 작업화를 착용합니다.
- 신발 바닥이 닳은 신발, 슬리퍼 등 착용 상태가 불안정한 신발을 신지 않도록 합니다.
○ 안전한 작업절차 준수
- 신체 조건에 비해 과도한 중량물(등짐형살포기 등)을 다루지 않도록 합니다.
- 가능하면 안전한 이동 경로를 선택합니다.
- 시야를 방해하는 큰 물건을 운반하지 않도록 합니다.
- 어두운 시간대나 장소에서 작업하지 않도록 합니다.
- 바닥이 미끄러운 경우, 평소보다 작업·이동속도를 늦추어 주의합니다.
○ 작업환경 관리
- 바닥의 패인 곳, 벌어진 틈은 즉시 복구합니다. (복구 전까지 위험표지 설치)
- 이동 공간이나 작업공간의 물건(작업도구, 호스, 줄, 선 등)을 정리정돈 합니다.
- 창고, 축사, 작업장, 계단 등에는 충분한 밝기의 조명을 설치합니다.
- 축사 등 바닥이 항상 젖어 있는 경우는 마찰력이 높은 바닥재를 사용합니다.
- 위험한 장소(사료 더미의 경사, 구덩이, 젖은 곳 등)에는 위험표지를 둡니다.
- 충분한 길이의 호스 등을 사용하여, 바닥 위로 선이 당겨져 있지 않도록 합니다.
- 주요 작업 장소에서는 바닥의 풀을 제거하여 바닥 위 물건들이 잘 보이도록 합니다.
- 평소와 달리 바닥이 젖거나 미끄러워진 경우 즉각적인 제거/완화 조치를 합니다. (묽을 닦거나, 흙으로 덮거나, 빙판에 모래·소금을 뿌리는 등)
○ 안전한 작업화 착용
- 바닥의 마찰력이 높은 작업화를 착용합니다.
- 신발 바닥이 닳은 신발, 슬리퍼 등 착용 상태가 불안정한 신발을 신지 않도록 합니다.
○ 안전한 작업절차 준수
- 신체 조건에 비해 과도한 중량물(등짐형살포기 등)을 다루지 않도록 합니다.
- 가능하면 안전한 이동 경로를 선택합니다.
- 시야를 방해하는 큰 물건을 운반하지 않도록 합니다.
- 어두운 시간대나 장소에서 작업하지 않도록 합니다.
- 바닥이 미끄러운 경우, 평소보다 작업·이동속도를 늦추어 주의합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전도, 전도 사고, 전도 사고 예방, 전도 사고 예방 방법, 넘어짐, 넘어짐 사고, 넘어짐 사고 예방, 넘어짐 사고 예방 방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