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상단으로
상단으로
  • 80
  • FAQ

자료마당

국민의 행복을 함께 만들어 갑니다.

벼농사 경영 개선 방향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64
질문내용

벼농사 경영 개선 방향 알려주세요.

답변
○ 경영규모 확대로 경제성 확보 : 3 ~ 5ha
- 농기구비 노력비 절감은 노동과 자본의 효율성을 증대합니다
○ 생력 재배기술 도입에 의한 생산비 절감
- 어린모 이앙 시 중묘 대비 12.8% 노동력 절감합니다.
- 직파재배 시 27.2% 노동력이 절감됩니다.
○ 농기계 이용 적정화에 의한 비용 절감
- 농기계 도입 시 손익분기 규모 이상 작업 면적 확보로 효율성 제고합니다.
- 농작업 수확 및 공동 이용 답리작 운전정비능력 배양하며, 숙기별 품종배치 조정 등으로 활용 가능 일수 연장합니다.
○ 생산 및 경영관리능력 제고
- 최신 기술정보교류 전문기관의 컨설팅 교육 지속 참여합니다.
- 효율적인 경영관리 기법개발 보급 경영컨설팅 강화합니다.
○ 벼농사 중심 복합경영의 도입
- 토지생산성이 낮고 경영규모가 작아 소득이 낮을 경우 적절한 작목을 결합합니다.
- 적절한 작목 결합 : 답리작 맥류 재배 채소 과수 축산 등
○ 농업경영주의 경영마인드 혁신
- 경영주로서의 시야를 넓히고 경영기록 분석 유통 정보 수집을 활용합니다.
- 컴퓨터 이용 기술의 습득 브랜드화로 판매관리 개선합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벼, 벼농사, 벼농사 경영, 벼농사 경영 개선 방향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