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0
논 제초제 약해 발생 원인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69
질문내용
논 제초제 약해가 일어나는 원인에 대해 알려주세요.
답변
- 이상고온 : 고온으로 증산량이 많아지면, 수분 흡수가 많아지고, 약제흡수도 증가합니다.
- 모래땅이나 물 빠짐이 심한 논 : 일반 논에 제초제를 뿌리면 1∼2㎝ 정도의 처리층이 형성되지만, 모래땅이나 물 빠짐이 심한 논에서는 처리층이 두꺼워져(5∼10㎝ 내외) 벼 뿌리에서 약제 접촉이 많아집니다.
- 약제 과다살포 : 제초제가 과량 살포되면 처리층에 약량이 많아져 식물체의 흡수가 많아집니다.
- 물관리 잘못 : 약을 뿌리고 바로 물을 댈 경우 약제가 한쪽으로 몰립니다.
- 논 고르기 잘못 : 써레질이 불균일한 경우, 노출 부위의 벼는 깊게 심겨져 활착이 불량하거나 분얼이 억제되기 쉽고, 약제의 확산이 방해되어 약효도 떨어집니다. 반대로 수심이 깊은 부분에는 모가 얇게 심어져 뜸묘가 발생되어 약해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 모래땅이나 물 빠짐이 심한 논 : 일반 논에 제초제를 뿌리면 1∼2㎝ 정도의 처리층이 형성되지만, 모래땅이나 물 빠짐이 심한 논에서는 처리층이 두꺼워져(5∼10㎝ 내외) 벼 뿌리에서 약제 접촉이 많아집니다.
- 약제 과다살포 : 제초제가 과량 살포되면 처리층에 약량이 많아져 식물체의 흡수가 많아집니다.
- 물관리 잘못 : 약을 뿌리고 바로 물을 댈 경우 약제가 한쪽으로 몰립니다.
- 논 고르기 잘못 : 써레질이 불균일한 경우, 노출 부위의 벼는 깊게 심겨져 활착이 불량하거나 분얼이 억제되기 쉽고, 약제의 확산이 방해되어 약효도 떨어집니다. 반대로 수심이 깊은 부분에는 모가 얇게 심어져 뜸묘가 발생되어 약해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논 제초제, 논 제초제 약해, 논 제초제 약해 원인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