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0
벼 기계 이앙재배 시 완효성비료 시용법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64
질문내용
벼 기계 이앙재배 시 완효성비료 시용 방법을 알려주세요.
답변
- 기계 이앙재배 시 표준 질소시비량은 10a당 11㎏이며 질소 시비 방법은 단비로 50-30-20%(밑거름-새끼칠거름-이삭거름)으로 나누어 주고 있습니다.
- 평년기온의 해에는 관행 질소시비량의 70% 완효성비료를 밑거름으로 전량 시비하면 수량은 관행 수준과 비슷하나, 벼 생육 초·중기에 기온이 높은 해에는 이삭거름으로 관행 질소 시비량의 30% 해당 량의 비료를 사용할 경우에 벼알 수의 증가와 등숙률이 높아져 관행에 비하여 6%의 수량을 더 얻을 수 있지만 이삭거름을 주지 않을 때는 수량이 크게 떨어지며 이삭거름을 사용하지 않은 완효성비료 시용에 비하여 이삭거름을 사용한 것은 12%의 증수를 가져왔습니다. 완효성비료를 밑거름으로 전량 전층시비 한 경우 수량이 관행보다 떨어지는 것은 벼 생육 초·중기에 기온이 상승하여 시비한 완효성비료의 질소가 빨리 용출되는 동시에 어린 식물체가 흡수하는 양보다 손실량이 많기 때문에 생육 후기에 거름 떨어진 현상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 기계 이앙재배 논의 완효성비료 시용방법은 모두 벼 생육 초·중기에 평년보다 기온이 높은 해에는 특히 중부 이남의 논에서 완효성비료를 밑거름으로 시용하였을 경우에는 후기 생육 상황에 따라 이삭거름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나 평년기온이나 기온이 낮은 해에는 쓰러짐을 조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삭거름을 주지 않아도 안전수량을 얻을 수 있습니다.
- 평년기온의 해에는 관행 질소시비량의 70% 완효성비료를 밑거름으로 전량 시비하면 수량은 관행 수준과 비슷하나, 벼 생육 초·중기에 기온이 높은 해에는 이삭거름으로 관행 질소 시비량의 30% 해당 량의 비료를 사용할 경우에 벼알 수의 증가와 등숙률이 높아져 관행에 비하여 6%의 수량을 더 얻을 수 있지만 이삭거름을 주지 않을 때는 수량이 크게 떨어지며 이삭거름을 사용하지 않은 완효성비료 시용에 비하여 이삭거름을 사용한 것은 12%의 증수를 가져왔습니다. 완효성비료를 밑거름으로 전량 전층시비 한 경우 수량이 관행보다 떨어지는 것은 벼 생육 초·중기에 기온이 상승하여 시비한 완효성비료의 질소가 빨리 용출되는 동시에 어린 식물체가 흡수하는 양보다 손실량이 많기 때문에 생육 후기에 거름 떨어진 현상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 기계 이앙재배 논의 완효성비료 시용방법은 모두 벼 생육 초·중기에 평년보다 기온이 높은 해에는 특히 중부 이남의 논에서 완효성비료를 밑거름으로 시용하였을 경우에는 후기 생육 상황에 따라 이삭거름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나 평년기온이나 기온이 낮은 해에는 쓰러짐을 조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삭거름을 주지 않아도 안전수량을 얻을 수 있습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벼, 벼 기계 이앙재배, 벼 기계 이앙재배 완효성비료 시용, 벼 기계 이앙재배 완효성비료 시용 방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