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0
먹노린재 발생 원인 및 방제법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66
질문내용
벼 재배 시 먹노린재의 발생 원인은 무엇이고 효과적인 새로운 방제법이 개발되었는지 알려주세요.
답변
○ 먹노린재 발생 원인
- 먹노린재는 1년 1세대 발생하는 해충으로 논 뚝이나 야산의 낙엽 밑에서 성충으로 월동하며, 월동성충은 6월 상순부터 논으로 날아오는데 이동 최성기는 6월 하순~7월 상순입니다.
- 논으로 날아온 먹노린재 성충은 볏대에 알을 낳고, 알에서 깨어난 약충이 볏대의 즙액을 빨아먹으며 성장하여 성충이 되는데, 신성충은 8월 중순부터 10월 중순까지 발생하고 9월 상순이 최성기입니다.
○ 먹노린재 방제법
- 먹노린재는 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하여야 되는데 성충은 약제에 대한 기피성이 강하여 성충 시기 보다는 어린 약충 시기에 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또한, 먹노린재는 적은 충격이나 소리에도 벼 포기속이나 물속으로 숨는 습성이 있어 방제가 어려운 해충이므로 물약을 살포할 때는 논물을 빼고 살포하고, 약액이 볏대 아래까지 묻도록 충분한 량을 살포하고, 논두렁까지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좋습니다.
- 먹노린재 방제용으로 등록된 약제는 에토펜프록스유제, 이미다클로프리드수회제티아메톡삼입상수회제, 펜치온유제 등 여러종류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먹노린재는 1년 1세대 발생하는 해충으로 논 뚝이나 야산의 낙엽 밑에서 성충으로 월동하며, 월동성충은 6월 상순부터 논으로 날아오는데 이동 최성기는 6월 하순~7월 상순입니다.
- 논으로 날아온 먹노린재 성충은 볏대에 알을 낳고, 알에서 깨어난 약충이 볏대의 즙액을 빨아먹으며 성장하여 성충이 되는데, 신성충은 8월 중순부터 10월 중순까지 발생하고 9월 상순이 최성기입니다.
○ 먹노린재 방제법
- 먹노린재는 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하여야 되는데 성충은 약제에 대한 기피성이 강하여 성충 시기 보다는 어린 약충 시기에 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또한, 먹노린재는 적은 충격이나 소리에도 벼 포기속이나 물속으로 숨는 습성이 있어 방제가 어려운 해충이므로 물약을 살포할 때는 논물을 빼고 살포하고, 약액이 볏대 아래까지 묻도록 충분한 량을 살포하고, 논두렁까지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좋습니다.
- 먹노린재 방제용으로 등록된 약제는 에토펜프록스유제, 이미다클로프리드수회제티아메톡삼입상수회제, 펜치온유제 등 여러종류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벼, 먹노린재, 벼 재배, 먹노린재 발생 원인, 먹노린재 방제법, 먹노린재 발생 원인 및 방제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