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상단으로
상단으로
  • 80
  • FAQ

자료마당

국민의 행복을 함께 만들어 갑니다.

벼이삭누룩병균에 감염된 쌀이 인체에 주는 영향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68
질문내용

벼이삭누룩병균에 감염된 쌀이 인체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답변
- 벼이삭누룩병균에서 ustiloxin G, A, B, D, F(총 5종)의 Toxin(톡신)을 분리하여 실험한 결과 ustiloxin B는 위암세포, 대장암세포, 간 상피세포,폐암세포 생성에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ustiloxin A는 위암세포, 폐 선암세포 생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ustiloxin G는 폐 선암세포 생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 그러나 이삭누룩병의 발생 과정을 보면 이삭누룩병은 벼의 개화기에 꽃으로 이삭누룩병균이 감염하여 벼알이 이삭누룩병균의 증식으로 벼 껍질이 열리고 검은색 덩어리로 부풀어 벼알의 모양을 찾아볼 수 없는 상태로 변화합니다.
- 그래서 정상적인 벼알과 함께 수확한 이삭누룩병에 걸렸던 벼알들은 도정 과정 중에 깨어져 가루 상태가 되어 매우 적은 양이 쌀알에 붙게 됩니다.
- 쌀을 밥 짓기 전에 깨끗이 씻어서 밥을 짓기 때문에 우리 인체에 해로운 수준까지의 양이 묻어 있을 확률은 극히 희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벼, 벼이삭누룩병, 벼이삭누룩병 인체 영향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