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0
벼애잎굴파리 원인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67
질문내용
벼애잎굴파리가 생기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답변
벼잎물가파리(벼애잎굴파리)는 1년에 7~8회 발생하고 1세대에 드는 기간이 짧으므로 세대가 겹칩니다. 겨울에는 독새풀, 겨이삭, 줄풀 등의 잎집이나 잎 속에서 다 자란 유충태로 월동하거나 번데기로 잡초 잎 속에서 월동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월동 후 5월 상순부터 성충이 되어 이앙 직후의 늘어진 잎에 산란하여 잎에 굴을 파고 먹으므로 늘어진 잎이 황화, 백화하여 잎이 없어집니다. 일부 해안가에서 발생이 심하며, 1980년대 초반 중부 지역에서 대발생하여 모내기를 다시 한 적도 있습니다. 유충은 벼에서는 5월 하순부터 6월 중순까지 1회 발생하며, 벼가 커지면 문제가 되지 않으나, 성충은 5월 중~하순, 6월 중~하순 사이에 많이 잡힙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벼, 벼애잎굴파리, 벼애잎굴파리 발생 원인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