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0
벼 냉해 피해 형태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91
질문내용
벼에게 영향을 미치는 냉해는 어떤 게 있나요?
답변
○ 냉해의 원인
- 벼에서 냉해는 낮은 기온 또는 낮은 수온에 의한 피해를 의미하나 수확량의 감소가 없는 것은 「냉온장해」라고 하고 낮은 기온 또는 낮은 수온의 결과로 수확량이 감소한 경우에만 「냉해」라고 말합니다.
○ 냉해의 형태
- 벼는 생육시기에 따라 냉해에 영향을 주는 온도는 이앙 후 뿌리 내릴 때부터 초기 새끼칠 때까지는 수온, 무성하게 새끼칠 때부터 배동받이 때까지는 기온과 수온, 출수개화기부터 벼가 익을 때까지는 기온이라고 합니다. 온도가 벼의 냉해에 미치는 영향은 벼의 생육시기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냉온의 발생시기가 어느 생육시기에 해당하느냐에 따라 주로 「지연형 냉해」,「장해형냉해」,「혼합형냉해」의 3가지형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지연형 냉해: 지연형냉해의 피해양상인 등숙불량은 직접으로는 등숙기의 저온에 의한 것이지만 , 그 원인은 출수가 늦기 때문입니다. 냉온에 의해 이앙후 뿌리내림과 초기생육이 늦어졌을 경우와 및 냉온에 의해 어린이 삭 발육이 늦어져 출수가 늦어지는 것들이 모두 지연형냉해의 현상들입니다.
- 장해형 냉해: 장해형 냉해는 어린 이삭이 생기는 시기와 벼이삭이 패는 시기(출수기)인 생식생장기에 일시적 또는 지속적으로 냉온이 내습하여 벼꽃에 장해를 주어 비정상적인 꽃가루가 만들어짐과 동시에 수정이 방해되어 불임현상을 일으키는 냉해입니다.
- 혼합형 냉해: 지연형 냉해와 장해형 냉해가 겹쳐서 발생하는 경우로 병행형 냉해라고도 합니다. 이것은 장기저온형의 기상인 해에 발생하는 것으로 그 피해는 치명적입니다. 혼합형냉해의 극심한 피해를 입은 대표적인 예로서 1980년과 1993년의 냉해를 들 수 있는데 1980년에는 우리나라 전체 벼 재배면적의 64.2%가 피해를 입었고 수확량은 평년의 68%에 불과해 국민의 식량 확보를 위해 외국에서 224.5만 톤(약 1,560만석)을 어 렵게 수입하였던 국가적인 위기상황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1993년에도 1980년과 같은 정 도의 극심한 혼합형냉해가 왔으나 그동안 냉해에 견딜 수 있도록 개량된 품종의 보급으로 냉해의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었고 수확량도 평년의 93% 수준으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었습니다.
- 벼에서 냉해는 낮은 기온 또는 낮은 수온에 의한 피해를 의미하나 수확량의 감소가 없는 것은 「냉온장해」라고 하고 낮은 기온 또는 낮은 수온의 결과로 수확량이 감소한 경우에만 「냉해」라고 말합니다.
○ 냉해의 형태
- 벼는 생육시기에 따라 냉해에 영향을 주는 온도는 이앙 후 뿌리 내릴 때부터 초기 새끼칠 때까지는 수온, 무성하게 새끼칠 때부터 배동받이 때까지는 기온과 수온, 출수개화기부터 벼가 익을 때까지는 기온이라고 합니다. 온도가 벼의 냉해에 미치는 영향은 벼의 생육시기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냉온의 발생시기가 어느 생육시기에 해당하느냐에 따라 주로 「지연형 냉해」,「장해형냉해」,「혼합형냉해」의 3가지형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지연형 냉해: 지연형냉해의 피해양상인 등숙불량은 직접으로는 등숙기의 저온에 의한 것이지만 , 그 원인은 출수가 늦기 때문입니다. 냉온에 의해 이앙후 뿌리내림과 초기생육이 늦어졌을 경우와 및 냉온에 의해 어린이 삭 발육이 늦어져 출수가 늦어지는 것들이 모두 지연형냉해의 현상들입니다.
- 장해형 냉해: 장해형 냉해는 어린 이삭이 생기는 시기와 벼이삭이 패는 시기(출수기)인 생식생장기에 일시적 또는 지속적으로 냉온이 내습하여 벼꽃에 장해를 주어 비정상적인 꽃가루가 만들어짐과 동시에 수정이 방해되어 불임현상을 일으키는 냉해입니다.
- 혼합형 냉해: 지연형 냉해와 장해형 냉해가 겹쳐서 발생하는 경우로 병행형 냉해라고도 합니다. 이것은 장기저온형의 기상인 해에 발생하는 것으로 그 피해는 치명적입니다. 혼합형냉해의 극심한 피해를 입은 대표적인 예로서 1980년과 1993년의 냉해를 들 수 있는데 1980년에는 우리나라 전체 벼 재배면적의 64.2%가 피해를 입었고 수확량은 평년의 68%에 불과해 국민의 식량 확보를 위해 외국에서 224.5만 톤(약 1,560만석)을 어 렵게 수입하였던 국가적인 위기상황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1993년에도 1980년과 같은 정 도의 극심한 혼합형냉해가 왔으나 그동안 냉해에 견딜 수 있도록 개량된 품종의 보급으로 냉해의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었고 수확량도 평년의 93% 수준으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었습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벼, 벼 냉해 피해, 벼 냉해 피해 형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