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0
벼 재배방법에 따른 잡초성벼 발생 원인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62
질문내용
잡초성벼의 발생 원인에 대해 알려주세요.
답변
- 담수 직파재배에서 토양 중 휴면상태로 존재하는 잡초성벼는 파종된 벼와 동일하게 생육합니다. 잡초성벼는 벼보다 출수가 10~15일 정도 빠르기 때문에 잡초성벼 출수 직후에 손으로 잡초성벼 이삭을 제거하여 발생을 경감시킬 수 있습니다.
- 이앙재배에서는 이미 발아된 잡초성벼가 경운·정지작업 과정에서 매몰되기 때문에 발생이 적고, 발아하더라도 이앙벼와의 경합에서 생육이 떨어집니다.
- 종자 갱신(更新, 씨앗 바꾸기)을 하지 않고 순도가 불량한 자가 채종 종자를 계속 사용하면 벼의 자연 돌연변이 또는 자연교잡(0.5%)에 의하여 잡초성벼 발생이 증가합니다.
- 이앙재배에서는 이미 발아된 잡초성벼가 경운·정지작업 과정에서 매몰되기 때문에 발생이 적고, 발아하더라도 이앙벼와의 경합에서 생육이 떨어집니다.
- 종자 갱신(更新, 씨앗 바꾸기)을 하지 않고 순도가 불량한 자가 채종 종자를 계속 사용하면 벼의 자연 돌연변이 또는 자연교잡(0.5%)에 의하여 잡초성벼 발생이 증가합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잡초성벼, 잡초성벼 발생 원인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