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0
건담직파논 잡초성벼 관리 방법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64
질문내용
건답직파논에서 문제 되는 잡초성벼의 관리 방법은 무엇인가요?
답변
- 연이어 건답직파를 하는 논에서 벼 수량과 미질을 떨어뜨리는 잡초성벼의 경우, 씨앗이 조금만 떨어져 있어도 이듬해 벼와 같이 발아해서 급격히 확산되기 쉽습니다. 잡초성벼 발생을 줄이는 데에는 벼 예취 직후 약 5㎝ 깊이로 담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논에 물을 담아 잡초성벼를 발아시켜 이듬해 발생 밀도를 줄이기 위한 수단입니다. 담수 시기가 빠를수록 잡초성벼 발아율이 높고, 늦으면 발아율이 낮아져 효과가 떨어집니다.
- 건담직파논에서는 잡초성벼 관리 시, 작부체계 및 경종적 방법 등의 종합적인 관리가 효과적입니다. 직파재배와 기계이앙의 윤환재배, 벼 직파재배와 맥류 및 사료작물(IRG 등)과의 2모작 재배, 벼 직파재배 파종 적기 내에서 파종 시기 늦추기, 조기 관수로 잡초성벼 발아 유도, 2차 제초제 처리 후 지속적인 담수상태 유지로 잡초성벼의 발생 억제, 잡초성벼가 출수한 직후에 손으로 이삭 제거 등의 방법이 권장되고 있습니다.
- 건담직파논에서는 잡초성벼 관리 시, 작부체계 및 경종적 방법 등의 종합적인 관리가 효과적입니다. 직파재배와 기계이앙의 윤환재배, 벼 직파재배와 맥류 및 사료작물(IRG 등)과의 2모작 재배, 벼 직파재배 파종 적기 내에서 파종 시기 늦추기, 조기 관수로 잡초성벼 발아 유도, 2차 제초제 처리 후 지속적인 담수상태 유지로 잡초성벼의 발생 억제, 잡초성벼가 출수한 직후에 손으로 이삭 제거 등의 방법이 권장되고 있습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건담직파논, 잡초성벼, 건담직파논 잡초성벼, 건담직파논 잡초성벼 관리 방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