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상단으로
상단으로
  • 80
  • FAQ

자료마당

국민의 행복을 함께 만들어 갑니다.

논잡초를 방제하기 위한 왕우렁이 입식 후 관리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61
질문내용

논잡초를 방제하기 위한 왕우렁이 입식 후 관리는 어떻게 하나요?

답변
○ 왕우렁이를 넣은 논에는 제초제를 비롯한 살충․살균제의 입제 농약을 사용해서는 안되며 잎과 줄기에 살포하는 희석제의 농약도 생육초기에는 살포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살충제의 사용은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 물 관리
- 왕우렁이는 물속이나 수면에 있는 먹이를 먹기 때문에 물의 깊이가 낮거나 논이 마르면 왕우렁이의 몸체가 드러나고 먹이가 수면위로 드러나게 되어 먹이를 먹을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발육이 나빠지고 산란도 불량하며 심하면 종자우렁이가 굶어죽는 일이 있어 어린 왕우렁이가 증식되지 않아 제초에 필요한 초기밀도 확보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왕우렁이를 넣은 논의 물 관리는 어린묘가 물속에 잠기지 않을 정도로 수위를 조절해야 합니다. 그러나 논둑으로 물이 넘치면 왕우렁이가 이동하여 인근의 이앙초기 논이나 담수 직파를 한 논에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논둑으로 물이 넘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왕우렁이는 농약성분이 함유된 물속에서는 살수 없기 때문에 논에 관수하는 물은 농약에 오염되지 않은 물을 관수하여야 합니다. 특히 농약을 살포한 인근 논의 배수로에서 흘러나온 물이나 논뚝을 넘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 자연생태계 전파 억제
- 왕우렁이는 배다리로 지면을 스치듯 움직이며, 하나의 필지내에 먹이를 찾아 자유롭게 이동합니다. 수면위로 떠오른 왕우렁이는 물의 흐르는 속도와 물길에 따라 빠른 시간에 아주 멀리 이동합니다. 따라서 부화된 새끼와 성체가 탈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개용수 유입구와 배출구에 철망이나 대나무로 엮은 망을 설치하여 왕우렁이가 밖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철저히 관리하여야 합니다. 특히 인근에 이앙초기 논이나 벼 담수 직파재배 논이 산재하고 있다면 관리를 더욱 더 철저히 해야 합니다.
○ 조류에 의한 왕우렁이 피해방지
- 왕우렁이를 넣어준 논에는 백로와 같은 조류가 도래하여 입식된 성체를 잡아먹기 때문에 새 그물망이나 방지테이프를 쳐서 조류피해가 없도록 해야 합니다. 우리와는 반대로 열대지방에서는 벼 피해가 심각하여 메기나 오리 등의 자연생태계내 생물들을 이용하거나 또는 인력으로 왕우렁이 제거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왕우렁이, 왕우렁이 입식 논, 왕우렁이 입식 후 관리, 왕우렁이 입식 후 관리 방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