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0
당귀에 생기는 해충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64
질문내용
당귀에 생기는 해충을 알고싶어요.
답변
○ 꼬부랑진딧물
- 6월 상순부터 주로 발견되며 7월 상순경에 피해와 발생이 증가합니다.
- 보통 생장부 순이나 어린잎 뒷면에 기생하여 잎을 흡즙하지만 다발생하면 상부의 잎도 가해합니다.
- 피해 잎은 생육이 부진하고, 오글오글하게 말립니다.
- 배설물에 의해 잎 표면에 그을음이 생겨 광합성을 저해시킵니다.
- 발생이 확인된 초기에 방제하면 효과적인 방제가 가능합니다.
○ 점박이응애
- 노지를 기준 보통 연 9회 정도 발생합니다.
- 전 생육기간에 걸쳐 가해하나 노지에서는 특히 7~9월의 고온건조 시간에 많이 발생하며 1세대 기간이 짧아 단기간에 발생하여 피해의 진전이 빠릅니다.
○ 파총채벌레
- 봄부터 가을까지 계속 발생하지만, 여름에 번식력이 왕성하고, 1년에 10회 이상 발생합니다.
- 성충과 약충이 즙액을 빨아 먹으면 피해받은 부분이 군데군데 황백색으로 변하며, 발생이 심할 때는 작물 전체가 색깔이 변하며 말라 죽게 됩니다.
- 가뭄 시에 번식이 왕성하고 피해가 심해집니다.
- 6월 상순부터 주로 발견되며 7월 상순경에 피해와 발생이 증가합니다.
- 보통 생장부 순이나 어린잎 뒷면에 기생하여 잎을 흡즙하지만 다발생하면 상부의 잎도 가해합니다.
- 피해 잎은 생육이 부진하고, 오글오글하게 말립니다.
- 배설물에 의해 잎 표면에 그을음이 생겨 광합성을 저해시킵니다.
- 발생이 확인된 초기에 방제하면 효과적인 방제가 가능합니다.
○ 점박이응애
- 노지를 기준 보통 연 9회 정도 발생합니다.
- 전 생육기간에 걸쳐 가해하나 노지에서는 특히 7~9월의 고온건조 시간에 많이 발생하며 1세대 기간이 짧아 단기간에 발생하여 피해의 진전이 빠릅니다.
○ 파총채벌레
- 봄부터 가을까지 계속 발생하지만, 여름에 번식력이 왕성하고, 1년에 10회 이상 발생합니다.
- 성충과 약충이 즙액을 빨아 먹으면 피해받은 부분이 군데군데 황백색으로 변하며, 발생이 심할 때는 작물 전체가 색깔이 변하며 말라 죽게 됩니다.
- 가뭄 시에 번식이 왕성하고 피해가 심해집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당귀, 당귀 해충, 당귀 해충 종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