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0
인삼 은피 현상 정의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71
질문내용
인삼에 나타나는 은피 현상이란 무엇인가요?
답변
○ 인삼 은피 현상 증상 및 원인
- 은피 증상은 외피와 피층 사이에 이층이 생겨 외피가 벗겨지고 내피층 표면이 울퉁불퉁해지며 심하면 뿌리의 중심부가 갈색 또는 흑갈색으로 변하면서 구멍이 생겨 마치 바람 든 무의 증상과 비슷한 현상입니다.
- 은피삼은 홍삼으로 제조할 경우 갈변이 되지 않고 피층은 백색 또는 회백색으로 변하며, 백삼을 제조할 경우에는 피층이 회흑색으로 변하는 등 홍삼이나 백삼을 제조할 수 없는 가장 불량한 삼으로 분류되고 있어 수매에서도 제외되고 있습니다. 은피는 평지의 비옥한 밭에는 거의 발생되 지 않고 야산 구릉 경사지의 척박하고 건조하기 쉬운 황갈색 토양 즉, 삼각통이나 예산통에서 많이 발생됩니다. 은피는 투수성 과다에 의해 봄철 건조기에 토양이 너무 건조하거나 양분 침투 및 유실에 의해 척박한 경우와 강산성 토양, 붕소 등 미량원소 결핍 등의 종합적인 원인에 의해서 발생됩니다.
○ 인삼 은피 현상 증상 방제 방법
- 은피 발생지의 특징은 건조하고 척박하면서 특히 붕소 함량이 적은 포장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은피 방지를 위해서는 예정지 관리 시 산야초나 볏짚 등의 신선 유기물을 다량 시용해서 토양의 유기물함량을 높이고 물리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토양에 붕소를 시용하고 옮겨 심은 후에는 토양 건조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두둑에 반드시 부초를 하고 건조기에 물주기를 하면 은피 발생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토양에 붕소 시용량은 10a당 1~2kg 정도만 소요되는데 붕소가 국부적으로 몰려있지 않고 고루 분포되도록 세심한 주의해야 합니다.
- 은피 증상은 외피와 피층 사이에 이층이 생겨 외피가 벗겨지고 내피층 표면이 울퉁불퉁해지며 심하면 뿌리의 중심부가 갈색 또는 흑갈색으로 변하면서 구멍이 생겨 마치 바람 든 무의 증상과 비슷한 현상입니다.
- 은피삼은 홍삼으로 제조할 경우 갈변이 되지 않고 피층은 백색 또는 회백색으로 변하며, 백삼을 제조할 경우에는 피층이 회흑색으로 변하는 등 홍삼이나 백삼을 제조할 수 없는 가장 불량한 삼으로 분류되고 있어 수매에서도 제외되고 있습니다. 은피는 평지의 비옥한 밭에는 거의 발생되 지 않고 야산 구릉 경사지의 척박하고 건조하기 쉬운 황갈색 토양 즉, 삼각통이나 예산통에서 많이 발생됩니다. 은피는 투수성 과다에 의해 봄철 건조기에 토양이 너무 건조하거나 양분 침투 및 유실에 의해 척박한 경우와 강산성 토양, 붕소 등 미량원소 결핍 등의 종합적인 원인에 의해서 발생됩니다.
○ 인삼 은피 현상 증상 방제 방법
- 은피 발생지의 특징은 건조하고 척박하면서 특히 붕소 함량이 적은 포장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은피 방지를 위해서는 예정지 관리 시 산야초나 볏짚 등의 신선 유기물을 다량 시용해서 토양의 유기물함량을 높이고 물리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토양에 붕소를 시용하고 옮겨 심은 후에는 토양 건조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두둑에 반드시 부초를 하고 건조기에 물주기를 하면 은피 발생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토양에 붕소 시용량은 10a당 1~2kg 정도만 소요되는데 붕소가 국부적으로 몰려있지 않고 고루 분포되도록 세심한 주의해야 합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인삼, 인삼 은피, 인삼 은피 정의, 인삼 은피 설명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