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0
한우 거세 비육의 보리 급여 시 나타나는 효과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78
질문내용
한우 거세 비육우에 보리를 급여하면 나타나는 효과가 궁금해요.
답변
- 보리알곡을 비육후기에 급여하는 것은 도체 품질을 개선하는 데 효과가 있습니다. 보리첨가의 효과는 압편형태로 급여할 경우 사료의 기호성이 증가하며, 도체 지방을 백색화 및 경도를 증가시켜 전반적인 도체 품질이 개선됩니다. 아울러 육량과 근내지방까지 개선되는 사료로 일본에서 비육후기에 일반적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 보리를 첨가하는 적정 배합 비율은 전체 사료의 20%로서, 후기 사료 중 옥수수가 에너지공급원으로 40%를 차지하는데 이 중 20%를 보리로 대체할 경우 도체등급의 전반적인 개선이 있었습니다.
- 급여 기간은 비육후기 8~10개월간 장기적으로 급여해야 하고 청보리 형태로 조사료에 포함된 보리는 도체 개선 효과가 없습니다.
- 보리알곡을 통째로 급여하면 미생물이 분해하지 못하여 소화가 거의 안 되므로 압편형태나 거칠게 간(마쇄) 형태로 하루에 1~2kg을 사료에 섞어 급여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보리를 첨가하는 적정 배합 비율은 전체 사료의 20%로서, 후기 사료 중 옥수수가 에너지공급원으로 40%를 차지하는데 이 중 20%를 보리로 대체할 경우 도체등급의 전반적인 개선이 있었습니다.
- 급여 기간은 비육후기 8~10개월간 장기적으로 급여해야 하고 청보리 형태로 조사료에 포함된 보리는 도체 개선 효과가 없습니다.
- 보리알곡을 통째로 급여하면 미생물이 분해하지 못하여 소화가 거의 안 되므로 압편형태나 거칠게 간(마쇄) 형태로 하루에 1~2kg을 사료에 섞어 급여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보리, 보리 급여, 거세 비육우 보리 급여, 거세 비육우 보리 급여 효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