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0
메밀에 대한 정보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82
질문내용
메밀에 대해 알려주세요.
답변
- 메밀은 전 세계 인류 역사와 함께해 왔으며, 오랫동안 사랑을 받아 온 작물이자 식품입니다. 메밀은 마디풀과(Polygonaceae) 메밀속(Fagopyrum)으로 약 20종이 있습니다.
- 재배종으로는 일반메밀(F. esculentum, sweet buckwheat, common buckwheat)과 쓴메밀(F. tataricum, bitter buckwheat, tartary buckwheat) 2종이 있습니다(Kreft 등, 1994).
-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지금까지 재배되고 있는 종은 일반메밀(common buckwheat)이며, 보통 메밀 또는 단메밀로 불리기도 합니다. 학명으로는 파고피룸 에스쿨렌툼(Fagopyrum esculentum Moench.)입니다.
- 반면에 쓴메밀(bitter buckwheat)은 중국·네팔 등지에 주로 자생하거나 재배되는 종으로, 타타리메밀 또는 달단종이라고 합니다. 학명은 파고피룸 타타리쿰(Fagopyrum tataricum Gaertn.)입니다.
- 일반메밀은 캐나다, 중국, 일본,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여러 국가에서 작물 또는 밀원식물로 많이 재배하고 있습니다.
- 쓴메밀은 타식성인 일반메밀과 달리 자식성이며, 메밀의 주요 기능성분인 루틴 함량이 일반메밀에 비해 70~100배 이상 많아 차 또는 식의약 소재로 활발히 이용되고 있습니다(박, 2016).
- 메밀은 곡물에 속하지 않지만 종실(정확히는 수과) 용도가 곡물과 비슷해 흔히 곡물로 분류됩니다. 곡물은 주로 음식과 사료로 사용되고 곡물가루는 팬케이크, 비스킷, 국수, 시리얼 등 요리 재료에 이용됩니다.
- 메밀 단백질은 다른 곡물과 달리 필수 아미노산인 라이신의 함량이 높아 우수합니다. 어린순과 메밀 싹은 새싹 채소로 사용되며, 꽃과 잎은 약용으로 이용되기도 합니다. 또한 메밀은 우수한 품질의 꿀 생산에도 활용되고 있습니다(Campbell, 1997).
- 메밀 재배 농가에 대한 별도의 정부 지원은 없으며, 제주나 평창 같은 지역에서 특화작물로 육성 관리하여 제품개발이나 판로 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 재배종으로는 일반메밀(F. esculentum, sweet buckwheat, common buckwheat)과 쓴메밀(F. tataricum, bitter buckwheat, tartary buckwheat) 2종이 있습니다(Kreft 등, 1994).
-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지금까지 재배되고 있는 종은 일반메밀(common buckwheat)이며, 보통 메밀 또는 단메밀로 불리기도 합니다. 학명으로는 파고피룸 에스쿨렌툼(Fagopyrum esculentum Moench.)입니다.
- 반면에 쓴메밀(bitter buckwheat)은 중국·네팔 등지에 주로 자생하거나 재배되는 종으로, 타타리메밀 또는 달단종이라고 합니다. 학명은 파고피룸 타타리쿰(Fagopyrum tataricum Gaertn.)입니다.
- 일반메밀은 캐나다, 중국, 일본,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여러 국가에서 작물 또는 밀원식물로 많이 재배하고 있습니다.
- 쓴메밀은 타식성인 일반메밀과 달리 자식성이며, 메밀의 주요 기능성분인 루틴 함량이 일반메밀에 비해 70~100배 이상 많아 차 또는 식의약 소재로 활발히 이용되고 있습니다(박, 2016).
- 메밀은 곡물에 속하지 않지만 종실(정확히는 수과) 용도가 곡물과 비슷해 흔히 곡물로 분류됩니다. 곡물은 주로 음식과 사료로 사용되고 곡물가루는 팬케이크, 비스킷, 국수, 시리얼 등 요리 재료에 이용됩니다.
- 메밀 단백질은 다른 곡물과 달리 필수 아미노산인 라이신의 함량이 높아 우수합니다. 어린순과 메밀 싹은 새싹 채소로 사용되며, 꽃과 잎은 약용으로 이용되기도 합니다. 또한 메밀은 우수한 품질의 꿀 생산에도 활용되고 있습니다(Campbell, 1997).
- 메밀 재배 농가에 대한 별도의 정부 지원은 없으며, 제주나 평창 같은 지역에서 특화작물로 육성 관리하여 제품개발이나 판로 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메밀, 메밀 정보, 메밀 설명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