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상단으로
상단으로
  • 80
  • FAQ

자료마당

국민의 행복을 함께 만들어 갑니다.

옥수수 재식밀도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81
질문내용

옥수수의 재식밀도에 대해 알려주세요.

답변
- 옥수수는 품종마다 차이가 있으나 알맞은 포기수는 10a당 6,600개체가 적당하며 보통 이랑 사이 60㎝, 포기 사이 25㎝로 심습니다. 표준보다 배게 심으면 키가 커지고 쓰러짐이 우려되며 이삭 길이가 작아져 상품화 비율이 떨어지고 결국은 이삭 수량이 감소합니다. 또한 이보다 드물게 심으면 이삭 크기는 충실해지나 이삭 수가 줄어들고 단위 면적당 이삭 무게가 감소하여 소득이 떨어집니다. 하지만 기계화 재배나 휴립 재배를 할 때는 이랑 사이를 70-~80㎝로 조정하는 것이 작업상 편리하므로 포기 사이를 다소 좁혀도 됩니다. 도복에 약한 품종 또는 옥수수알이 이삭 끝까지 잘 달리지 않는 (착립장률이 낮은) 품종은 상품성이 좋은 이삭을 생산하기 위해 표준 재식밀도보다 드물게 심는 것이 유리합니다.
- 옥수수는 대체로 이랑 폭은 70~75㎝, 포기 사이는 15~20㎝지만 기계로 수확할 경우를 대비해, 농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수확기의 폭을 고려하여 파종합니다. 옥수수의 재식 밀도를 보면, 휴폭이 75㎝이고 파폭이 15㎝이거나, 휴폭이 70㎝이고 파폭이 16㎝이면 실제 파종립의 수는 8,900포기가 되지만, 자연 결주율이 10~12% 정도 발생하기 때문에 수확했을 때 실제 포기수는 약 8,000포기 정도입니다. 옥수수의 재식본 수는 품종에 따라 달라지는데, 잎이 직립형인 경우 수광태세가 좋아서 밀식에 적응성이 높은 반면 잎이 수평형인 경우에는 밀식에 약합니다. 하지만 직립형은 생육 일수가 짧고, 수평형은 생육 일수가 긴 만생품종이 대부분입니다. 결과적으로 둘 중 어느 것이 더 우수하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 옥수수는 보통 1포기에 1개의 이삭이 달리므로 수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 많이 심어 단위면적당의 이삭수를 늘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어느 한계 이상으로 많아지면 한 이삭에 달리는 종자수와 한 개 종자의 무게가 감소하므로 전체 수량은 증가하지 않고 오히려 감소합니다. 따라서 종자생산을 목적으로 할 때 알맞은 재식밀도는 60㎝ 골에 30㎝ 간격으로 한 알씩 심는 것이 좋습니다. 실제 밭에서는 발아율이 약 80~90% 정도이므로 1단보에 4,000~5,500포기를 유지하게 되어 수량을 높일 수 있는 알맞은 재식밀도가 됩니다. 한편 사일리지용으로 재배할 때는 종실은 물론 줄기와 잎도 함께 이용하므로 재식밀도가 높으면 종실 수량은 다소 낮더라도 줄기와 잎의 수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사일리지용은 60㎝ 골에 25㎝ 간격으로 심는 것이 좋다. 더 밀식하여도 사일리지 수량은 떨어지지 않지만 종실이 발달하지 않으면 사일리지의 사료가치가 떨어지므로 오히려 불리합니다.
- 비닐하우스에서의 조기이식재배에서는 보통재배에 비하여 생육량이 적기 때문에 10a당 8,000~10,000개체 정도로 밀식합니다. 그러나 너무 배게 심으면 이삭이 안달리는 개체가 많아지고, 달린 이삭도 작으며, 이삭끝이 여물지 않아 상품가치가 떨어집니다. 비닐하우스 재배에서는 이랑나비를 50㎝로 하고, 포기 사이는 한 포기에 한 개체씩 일 때는 20~25㎝로 하고, 한 포기에 두 대를 기를 때는 40~50㎝로 넓게 합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옥수수, 재식밀도, 옥수수 재식밀도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