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상단으로
상단으로
  • 80
  • FAQ

자료마당

국민의 행복을 함께 만들어 갑니다.

멜론 저 당도과 원인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80
질문내용

멜론의 당도가 낮아지는 현상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답변
○ 멜론 저 당도과 기준
- 멜론은 기본적으로 단맛 때문에 소비자가 구입하는 것이므로 당도가 낮은 과실은 생리장해로 보아야 합니다.
- 이전에는 당도가 13°Bx 이상만 되면 상품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했으나 당도가 높은 품종이 개발됨에 따라 지금은 최저 14°Bx 이상은 되어야 하고 소비자로부터 좋은 평가를 얻으려면 15°Bx 이상은 되어야 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멜론 당도가 낮아지는 이유
- 첫째로 과실을 너무 크게 키우려 하는 점입니다. 이 점에 대해서는 판매하는 측과 소비자의 책임도 상당 부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시장에서는 큰 과실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멜론은 과실의 크기와 당도는 반비례하는 관계가 있어서 크기가 일정 범위를 초과하면 과실이 큰 만큼 당도가 떨어지기 쉽습니다.
- 둘째로 엽면적이 부족하면 당도가 낮습니다. 특히 착과절(착과위치) 위쪽의 엽면적이 부족하면 당도가 떨어집니다.
- 셋째로 수확기의 초세(과실의 생육 정도)가 지나치게 약하거나 강하면 당도가 떨어집니다. 초세는 시비량과 물관리의 영향을 크게 받는데 질소와 칼리의 시비량이 많거나 수확기에도 토양수분이 충분히 흡수되는 조건에서는도 당도가 낮아집니다.
- 마지막으로 교배로부터 수확까지의 기간, 즉 수확 소요일수와 수확기 무렵의 온도관리가 당도에 영향을 미치며 착과 방법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무네트멜론은 생장조정제로 착과시켜도 당도의 저하가 없으나 네트멜론은 뚜렷하게 당도가 낮아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멜론, 멜론 저 당도과, 멜론 저 당도과 이유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