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0
호박 흰가루병 원인 및 방제법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67
질문내용
호박 흰가루병 원인 및 방제법을 알고 싶어요.
답변
- 호박 흰가루병의 병원균은 진균계의 자낭군이 일으키며, 병든 식물체의 잔재물에서 주로 자낭각 형태로 월동하여 1차 전염원이 되고, 병반상에 형성된 분생포자는 바람에 날려 전파됩니다. 이 병원균은 습도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건조한 조건에서도 잘 발생하며, 특히 기온의 일교차가 큰 봄, 가을에 잘 발생하고, 질소질비료를 과다 사용했을 때 많이 발생합니다. 촉성재배에서 수확기 전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며, 시설하우스 재배에서는 계속 발생이 가능하며, 특히 억제재배에서 피해가 큽니다.
- 방제 대책으로는 수확 후 이병 잔재물은 모두 제거 소각하고, 생육 중에도 발병이 심한 아랫잎은 제거하며, 밀식을 피하고, 늙은 하엽은 제거하여 통풍이 잘되도록 하며, 질소질비료의 과용을 억제해야 합니다. 발병 초기 예방적 방제로 초기전염원을 줄여주는데 흰가루병의 피해를 최소한 억제하기 위하여 작물 주변에 멜론, 오이, 호박, 박, 가지, 우엉, 머위, 코스모스, 백일초, 봉선화 등의 흰가루병균의 전염원을 차단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방제 대책으로는 수확 후 이병 잔재물은 모두 제거 소각하고, 생육 중에도 발병이 심한 아랫잎은 제거하며, 밀식을 피하고, 늙은 하엽은 제거하여 통풍이 잘되도록 하며, 질소질비료의 과용을 억제해야 합니다. 발병 초기 예방적 방제로 초기전염원을 줄여주는데 흰가루병의 피해를 최소한 억제하기 위하여 작물 주변에 멜론, 오이, 호박, 박, 가지, 우엉, 머위, 코스모스, 백일초, 봉선화 등의 흰가루병균의 전염원을 차단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호박, 흰가루병, 호박 흰가루병, 호박 흰가루병 원인, 호박 흰가루병 방제법, 호박 흰가루병 원인 및 방제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