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상단으로
상단으로
  • 80
  • FAQ

자료마당

국민의 행복을 함께 만들어 갑니다.

돼지고기 구울 때 해로운 성분의 발생을 줄이는 방법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89
질문내용

돼지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해로운 성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나요?

답변
○ 돼지고기 구울 때 해로운 성분
- 돼지고기를 불 위에서 굽거나 훈연하는 과정에서 유기물(모든 식품들)이 열 분해되는 환경에 고기가 노출되면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라고 하는 해로운 성분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물질들은 100여종이 알려져 있는데 그중 독성이 심한 물질을 벤조[a]피렌 등 10여종이 알려져 있습니다.
○ 돼지고기 구울 때 해로운 성분의 발생을 줄이는 방법
- ‘석쇠’보다는 돌구이판, 솥뚜껑, 프라이팬 등과 같은 ‘불판’을 이용합니다. 특히, 지방 함량이 많은 고기를 구울 때는 석쇠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석쇠를 이용해야 할 때는 석쇠 아래에서 불꽃이 일지 않을 정도로 불꽃의 크기를 조절하여 적절한 화력을 유지해야 합니다.
-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가 고기에 접촉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연기 배출 장치가 설치된 구이설비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지방 함량이 많은 고기를 구울 때는 고기의 지방질이 불꽃에 직접 떨어져 연소됨으로써 연기가 발생하는데 이를 주의하도록 합니다.
- 고기를 불에 구워 먹을 때는 일시에 많은 양의 고기를 불 위에 올리지 말고 고기가 타지 않을 정도로 적당량을 불 위에 올려 알맞게 구워 먹는 것이 좋습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돼지고기, 돼지고기 구울 때 해로운 성분, 돼지고기 구울 때 해로운 성분 감소, 돼지고기 구울 때 해로운 성분 감소 방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