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0
토종닭의 재래종과 토착종 차이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94
질문내용
토종닭의 재래종과 토착종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답변
- 재래종은 한우처럼 예로부터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닭 품종으로 최소 7세대 이상 다른 품종과 섞임이 없이 순수혈통으로 번식한 기록이 있으며, 사육 유래가 명확하고 품종 고유의 유전적 특성이 대를 이어 유지되는 닭으로 적갈색, 황갈색, 흑색, 백색, 희갈색 재래닭 등이 있습니다.
- 토착종은 외국에서 품종이 성립돼 우리나라에 순계로 도입, 최소 7세대 이상 계대 유지에 의해 우리나라 기후 풍토에 완전 적응된 계통적으로 세대를 이어 나가는 것을 말합니다. 순수한 계통은 국내 도입 경위가 명확하고 세대 번식기록이 있으며, 품종 고유의 유전적 특성이 유지되어 내려온 닭으로 한국레그혼, 한국로드아일랜드레드, 한국코니쉬, 한국플리머스록, 한국뉴햄프셔 등이 있습니다.
- 그 외에 특수한 닭으로 우리나라에서 오랫동안 키워 온 재래 오골계, 연산오계, 백봉오골계 및 긴꼬리닭인 장미계가 있습니다.
- 토착종은 외국에서 품종이 성립돼 우리나라에 순계로 도입, 최소 7세대 이상 계대 유지에 의해 우리나라 기후 풍토에 완전 적응된 계통적으로 세대를 이어 나가는 것을 말합니다. 순수한 계통은 국내 도입 경위가 명확하고 세대 번식기록이 있으며, 품종 고유의 유전적 특성이 유지되어 내려온 닭으로 한국레그혼, 한국로드아일랜드레드, 한국코니쉬, 한국플리머스록, 한국뉴햄프셔 등이 있습니다.
- 그 외에 특수한 닭으로 우리나라에서 오랫동안 키워 온 재래 오골계, 연산오계, 백봉오골계 및 긴꼬리닭인 장미계가 있습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토종닭, 재래종, 토착종, 토종닭 재래종 토착종 차이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