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0
사료 중에 단미사료 배합사료 등이 있는데 차이가 무엇인가요?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09
질문내용
사료 중에 단미사료 배합사료 등이 있는데 차이가 무엇인가요?
답변
■ 단미사료란?
- 식물성・동물성 또는 광물성 물질로서 사료로 직접 사용되거나 배합사료의 원료로 사용되는 것으로 곡류, 강피류, 박류, 서류, 식품가공부산물류, 조류, 목초, 유지류, 전분류 등이 있음
*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 별표 1 단미사료의 범위 참고
■ 보조사료란?
- 사료의 품질저하 방지 또는 사료의 효용을 높이기 위하여 사료에 첨가하는 것
- 유화제, 산미제, 항산화제, 비타민제, 아미노산제, 당분해효소, 착향료 등이 있음
*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 별표 2 보조사료의 범위 참고
■ 배합사료란?
- 단미사료・보조사료 등을 적정한 비율로 배합 또는 가공한 것으로 용도에 따라 사용된 단미사료의 종류와 보조사료의 종류가 다름
- 대표적으로 젖소, 돼지 닭, 오리 등 양축용 배합사료와 반려동물용 배합사료가 있음
*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 별표 3 배합사료의 범위 참고
■ 문의처
- 농림축산식품부 축산환경자원과 044-201-2359~60
※ 본 내용은 정책 변경에 따라 수정되거나 종료될 수 있습니다.
- 자료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 https://www.mafra.go.kr/sites/home/index.do#none )
- 식물성・동물성 또는 광물성 물질로서 사료로 직접 사용되거나 배합사료의 원료로 사용되는 것으로 곡류, 강피류, 박류, 서류, 식품가공부산물류, 조류, 목초, 유지류, 전분류 등이 있음
*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 별표 1 단미사료의 범위 참고
■ 보조사료란?
- 사료의 품질저하 방지 또는 사료의 효용을 높이기 위하여 사료에 첨가하는 것
- 유화제, 산미제, 항산화제, 비타민제, 아미노산제, 당분해효소, 착향료 등이 있음
*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 별표 2 보조사료의 범위 참고
■ 배합사료란?
- 단미사료・보조사료 등을 적정한 비율로 배합 또는 가공한 것으로 용도에 따라 사용된 단미사료의 종류와 보조사료의 종류가 다름
- 대표적으로 젖소, 돼지 닭, 오리 등 양축용 배합사료와 반려동물용 배합사료가 있음
*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 별표 3 배합사료의 범위 참고
■ 문의처
- 농림축산식품부 축산환경자원과 044-201-2359~60
※ 본 내용은 정책 변경에 따라 수정되거나 종료될 수 있습니다.
- 자료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 https://www.mafra.go.kr/sites/home/index.do#none )
기관 | 110국민콜
키워드 | 단미사료, 보조사료, 배합사료, 첨가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