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0
들깨 철 결핍 현상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70
질문내용
들깨에 철이 부족할 경우 나타나는 현상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답변
- 철(Fe)은 흡수 후 체내에서 재이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으므로 계속 공급해야 하는 영양소입니다. 철이 부족하면 작물의 선단엽이나 새로 나온 잎에 나타나며 엽맥은 녹색을 남기는데 엽맥사이는 담록색에서 황백화로 변하게 됩니다. 증상이 심해지면 잎 전체가 황백화되나 하위잎에는 결핍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또 뿌리가 황변되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 들깨는 초장과 줄기생장이 나쁘고 특히 뿌리가 매우 짧아집니다. 잎은 다른 원소에 비해 가장먼저 생장점 부근에서 황백화 현상이 나타나는데 양액 처리 6일째부터는 어린잎이 황화됩니다. 엽맥간 황백화가 잎의 선단방향으로 퍼져나가며 생장을 매우 둔화시키고 뿌리 색깔은 연노랑색을 띄며 향기가 매우 적어집니다.
- 토양 반응이 중성에서 알칼리성으로 기울면 발생하기 쉽고 산성토양에서는 인산 함량이 높을 때 발생하기 쉽습니다. 그리고 망간, 아연 등과 인산을 다량 흡수하면 철 결핍증이 유발됩니다.
- 들깨는 초장과 줄기생장이 나쁘고 특히 뿌리가 매우 짧아집니다. 잎은 다른 원소에 비해 가장먼저 생장점 부근에서 황백화 현상이 나타나는데 양액 처리 6일째부터는 어린잎이 황화됩니다. 엽맥간 황백화가 잎의 선단방향으로 퍼져나가며 생장을 매우 둔화시키고 뿌리 색깔은 연노랑색을 띄며 향기가 매우 적어집니다.
- 토양 반응이 중성에서 알칼리성으로 기울면 발생하기 쉽고 산성토양에서는 인산 함량이 높을 때 발생하기 쉽습니다. 그리고 망간, 아연 등과 인산을 다량 흡수하면 철 결핍증이 유발됩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들깨, 들깨 철 결핍, 들깨 철 결핍 증상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