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0
표고버섯 원목재배 원목 종류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505
질문내용
표고버섯의 원목 재배 시 사용되는 원목의 종류가 궁금해요.
답변
- 표고 원목 재배에서 주로 쓰이는 나무는 참나무류이며, 그 중에서도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물참나무 포함), 갈참나무 등이 주로 사용됩니다.
-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Carr.): 상수리나무는 재배자들이 강참나무라고도 부르고 있다. 표고재배용 원목으로는 수령 10∼20년생이 가장 알맞으며, 벌채 적령기는 15년생 내외입니다. 상수리나무는 갓이 크고, 살이 두꺼운 표고가 발생하고, 버섯나무의 수명도 오래가기 때문에 표고재배용으로 가장 적당한 나무 가운데 하나입니다.
- 졸참나무(Quercus serrata Murray): 종균 접종 후 균사의 활착과 신장이 매우 빨라서 버섯나무화가 잘됩니다. 버섯나무의 수명은 상수리만은 못하지만 비교적 긴 편이고 버섯발생이 빠르며 발생량이 많을 뿐 아니라 품질도 좋은 편입니다. 상수리나무에서 발생한 버섯보다는 버섯이 다소 작습니다. 벌채 적정목의 수령은 15∼25년생이고, 다른 나무와 동일하게 대경목(大徑木)은 심재부가 많아져서 버섯 발생이 좋지 않습니다.
-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isher ex. Turc.): 신갈나무는 다른 참나무류에 비하여 잎 가장자리의 톱니 모양이 비교적 깊게 파이고 큰 편입니다. 수피도 비교적 얇으며, 일부 지방에서는 물참나무라고도 부르기도 합니다. 물참나무는 신갈나무의 변종으로 따로 있으므로 구분할 필요가 있으나 표고 재배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이 나무는 균의 생장은 빠르지만 발생되는 자실체는 다소 갓이 작고 얇다. 그러나 버섯 발생량이 많아서 표고 원목으로서의 가치는 기타 다른 나무에 비하여 나쁘지 않습니다.
-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Blume): 굴참나무는 심재의 생성이 적고, 버섯 균의 생장도 용이하여 골목화가 잘되지만 수피가 두꺼워서 버섯 발생량이 작고, 수피를 뚫고 나오는 경우에는 기형버섯 발생이 많아 선호하지 않는 나무 중의 하나입니다. 굴참나무를 표고재배용 원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직경 12cm 이하의 비교적 수피가 두껍지 않은 것이 적당하며, 12cm 이상인 경우에는 절단면에 버섯을 발생시키거나 수피를 뚫고 나오지 않는 상황, 영지 등의 버섯에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Carr.): 상수리나무는 재배자들이 강참나무라고도 부르고 있다. 표고재배용 원목으로는 수령 10∼20년생이 가장 알맞으며, 벌채 적령기는 15년생 내외입니다. 상수리나무는 갓이 크고, 살이 두꺼운 표고가 발생하고, 버섯나무의 수명도 오래가기 때문에 표고재배용으로 가장 적당한 나무 가운데 하나입니다.
- 졸참나무(Quercus serrata Murray): 종균 접종 후 균사의 활착과 신장이 매우 빨라서 버섯나무화가 잘됩니다. 버섯나무의 수명은 상수리만은 못하지만 비교적 긴 편이고 버섯발생이 빠르며 발생량이 많을 뿐 아니라 품질도 좋은 편입니다. 상수리나무에서 발생한 버섯보다는 버섯이 다소 작습니다. 벌채 적정목의 수령은 15∼25년생이고, 다른 나무와 동일하게 대경목(大徑木)은 심재부가 많아져서 버섯 발생이 좋지 않습니다.
-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isher ex. Turc.): 신갈나무는 다른 참나무류에 비하여 잎 가장자리의 톱니 모양이 비교적 깊게 파이고 큰 편입니다. 수피도 비교적 얇으며, 일부 지방에서는 물참나무라고도 부르기도 합니다. 물참나무는 신갈나무의 변종으로 따로 있으므로 구분할 필요가 있으나 표고 재배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이 나무는 균의 생장은 빠르지만 발생되는 자실체는 다소 갓이 작고 얇다. 그러나 버섯 발생량이 많아서 표고 원목으로서의 가치는 기타 다른 나무에 비하여 나쁘지 않습니다.
-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Blume): 굴참나무는 심재의 생성이 적고, 버섯 균의 생장도 용이하여 골목화가 잘되지만 수피가 두꺼워서 버섯 발생량이 작고, 수피를 뚫고 나오는 경우에는 기형버섯 발생이 많아 선호하지 않는 나무 중의 하나입니다. 굴참나무를 표고재배용 원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직경 12cm 이하의 비교적 수피가 두껍지 않은 것이 적당하며, 12cm 이상인 경우에는 절단면에 버섯을 발생시키거나 수피를 뚫고 나오지 않는 상황, 영지 등의 버섯에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표고버섯, 원목 재배, 표고버섯 원목 재배, 표고버섯 원목재배 원목 종류, 표고버섯 원목재배 원목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