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0
양송이 퇴비배지 재료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69
질문내용
양송이 퇴비배지를 만들기 위한 재료로 무엇이 있나요?
답변
- 양송이 퇴비배지 만드는 주재료는 주로 탄소원을 가진 것으로 볏짚, 보릿짚, 밀짚, 솜, 산야초 등 퇴비 더미의 80% 이상을 점유하는 기본재료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볏짚을 주재료로 하여 합성 퇴비를 사용하며 마분볏짚이나 그 밖의 농가 부산물도 일부 사용되고 있습니다.
- 첨가 재료는 무기태질소와 유기태질소로 나누어 구분할 수가 있습니다. 양송이 퇴비 제조 시에 사용되는 무기태질소원은 요소, 유안, 석회질소, 질산암모늄 등이 있는데 그중 요소가 권장되고 있습니다. 유기태급원으로는 주로 계분과 미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가용성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질 함량이 높은 재료인 면실박, 폐당밀 맥주박 등 각종 농가 및 공장 부산물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 주재료와 첨가 재료 이외에도 배지의 물리성 개선과 산도 조절 등을 위한 보조 재료의 첨가가 필요합니다. 양송이 퇴비는 끈기가 없고 탄력성이 있어야 하며 수분 함량이 알맞아야 하는데 이러한 퇴비를 만들기 위해서는 석고 또는 지오라이트 등의 첨가가 필요합니다. 석고의 첨가량은 보통 볏짚 양의 1%가 권장되고 있으나 퇴비 상태가 불량하면 3∼5%까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첨가 시기는 마지막 뒤집기 때에 하는 것이 보통이나 퇴비 상태가 나쁘면 중간에 첨가해도 괜찮습니다.
- 첨가 재료는 무기태질소와 유기태질소로 나누어 구분할 수가 있습니다. 양송이 퇴비 제조 시에 사용되는 무기태질소원은 요소, 유안, 석회질소, 질산암모늄 등이 있는데 그중 요소가 권장되고 있습니다. 유기태급원으로는 주로 계분과 미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가용성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질 함량이 높은 재료인 면실박, 폐당밀 맥주박 등 각종 농가 및 공장 부산물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 주재료와 첨가 재료 이외에도 배지의 물리성 개선과 산도 조절 등을 위한 보조 재료의 첨가가 필요합니다. 양송이 퇴비는 끈기가 없고 탄력성이 있어야 하며 수분 함량이 알맞아야 하는데 이러한 퇴비를 만들기 위해서는 석고 또는 지오라이트 등의 첨가가 필요합니다. 석고의 첨가량은 보통 볏짚 양의 1%가 권장되고 있으나 퇴비 상태가 불량하면 3∼5%까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첨가 시기는 마지막 뒤집기 때에 하는 것이 보통이나 퇴비 상태가 나쁘면 중간에 첨가해도 괜찮습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양송이, 양송이 퇴비배지, 양송이 퇴비배지 재료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