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0
국화 수출현황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69
질문내용
국화의 수출 현황에 대해 알고 싶어요.
답변
- 국화 수출은 90년대 중반까지 별 다른 실적이 없다가 장미와 마찬가지로 대규모 유리온실이 세워지면서 수출이 본격화되었습니다. 특히 구미 지역에 설치된 두 개의 생산 단지에서 우리나라에서 수출하는 대부분의 국화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본의 한국산 절화 국화의 수입 비중이 점점 높아졌고, 2001년도에는 수출액 725만 달러를 기록하여 점유율 29.5%로서 31.3%의 네덜란드에 이어 2위를 차지하였습니다.
- 그러나 2004년 이후 말레이시아, 중국, 베트남 등 동남아 국가와의 경쟁 심화 및 수출 채산성 악화로 감소세가 지속되었으나 2010년 경쟁국의 생산 감소와 스탠더드 품종의 수출 증가 등으로 증가하였습니다. 하지만 2014년 구미시설공단 원예사업팀의 사업 종료에 따라 수출액은 지속해 감소하여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여건 변화는 수출 경쟁국 중에서도 경쟁력을 약화하고 있으나 수출물량 확보 및 채산성 악화를 우려하는 수준에 이르고 있습니다.
- 한국산 국화는 그동안 전략적으로 가격 대비 품질 경쟁력이 높은 스프레이 국화를 중심으로 수출되어 왔으나 최근 일본의 국화 수요 증가로 ‘신마’, ‘백선’과 같은 일본 품종 및 ‘백마’와 같은 국산 품종의 수출 비중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그러나 2004년 이후 말레이시아, 중국, 베트남 등 동남아 국가와의 경쟁 심화 및 수출 채산성 악화로 감소세가 지속되었으나 2010년 경쟁국의 생산 감소와 스탠더드 품종의 수출 증가 등으로 증가하였습니다. 하지만 2014년 구미시설공단 원예사업팀의 사업 종료에 따라 수출액은 지속해 감소하여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여건 변화는 수출 경쟁국 중에서도 경쟁력을 약화하고 있으나 수출물량 확보 및 채산성 악화를 우려하는 수준에 이르고 있습니다.
- 한국산 국화는 그동안 전략적으로 가격 대비 품질 경쟁력이 높은 스프레이 국화를 중심으로 수출되어 왔으나 최근 일본의 국화 수요 증가로 ‘신마’, ‘백선’과 같은 일본 품종 및 ‘백마’와 같은 국산 품종의 수출 비중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국화, 국화 수출, 국화 수출 현황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