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0
자생찔레 특성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79
질문내용
자생찔레의 특성에 대하여 알고 싶어요.
답변
- 자생찔레는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 널리 자생하고 있는 대목으로 황색계 품종을 제외한 많은 품종과 접목친화성이 우수하고 뿌리 발육이 좋으며 수세가 왕성합니다.
- 자생찔레는 5월에 주로 흰색의 꽃이 피고 결실이 잘 되므로 실생대목을 양성하여 이용하며, pH 5.0~6.0정도의 약산성의 사양토에서 잘 자랍니다.
- 절화재배시 채화 본수가 많고 흑성병에는 강하나 흰가루병에는 다소 약한 편이며, 또한 자생찔레는 형질분리가 심하여 화색, 화형 등 절화의 품질이 균일하지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고 있는 찔레 간에도 자생지별로 형질이 다릅니다. 강원도 평창, 충북 제천, 제주 등에 자생하고 있는 찔레집단은 수량 및 내병성 등의 형질이 우수합니다. 이를 통해 자생지의 환경이나 표고 등에 따라서도 변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자생찔레는 5월에 주로 흰색의 꽃이 피고 결실이 잘 되므로 실생대목을 양성하여 이용하며, pH 5.0~6.0정도의 약산성의 사양토에서 잘 자랍니다.
- 절화재배시 채화 본수가 많고 흑성병에는 강하나 흰가루병에는 다소 약한 편이며, 또한 자생찔레는 형질분리가 심하여 화색, 화형 등 절화의 품질이 균일하지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고 있는 찔레 간에도 자생지별로 형질이 다릅니다. 강원도 평창, 충북 제천, 제주 등에 자생하고 있는 찔레집단은 수량 및 내병성 등의 형질이 우수합니다. 이를 통해 자생지의 환경이나 표고 등에 따라서도 변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자생찔레, 자생찔레 특성, 자생찔레 특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