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0
국내산 키위 수출현황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47
질문내용
국내산 키위의 수출현황을 알려주세요.
답변
- 국내산 키위는 2014년 155톤을 시작으로 2015년 258톤, 2016년 1,389톤, 2017년 1,118톤을 수출하면서 성장 가능성을 보였습니다. 특히, 2016년 수출 물량의 급격한 증가는 일본 시장 진입이 큰 계기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2018년 438톤으로 급감하였는데 일본 수출량이 전년 대비 5분의 1수준으로 감소한 것이 주요인입니다. 수출 물량이 감소한 원인은 품질 균일화 미흡, 잔류농약 검출, 국내 수출업체 간 경쟁 심화에 따른 저품질 키위 등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 반면 홍콩, 싱가포르 등 동남아 국가는 뉴질랜드 ‘제스프리’에서 시장을 점유하고 있어 키위에 대한 거부감이 없고 소비 기반도 마련된 상황입니다. 최근 검역 협상이 완료된 대만 또한 키위 소비량이 높은 국가로 국내산 키위 수출 가능성이 기대됩니다. 세계 최대 키위 수출국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와 달리 북반구에서 생산되는 국내산 키위는 유통 시기가 겹치지 않는 것이 최고의 장점입니다. 따라서 고품질의 키위를 생산해 수출시장을 공략한다면 수출농산물로의 성장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 반면 홍콩, 싱가포르 등 동남아 국가는 뉴질랜드 ‘제스프리’에서 시장을 점유하고 있어 키위에 대한 거부감이 없고 소비 기반도 마련된 상황입니다. 최근 검역 협상이 완료된 대만 또한 키위 소비량이 높은 국가로 국내산 키위 수출 가능성이 기대됩니다. 세계 최대 키위 수출국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와 달리 북반구에서 생산되는 국내산 키위는 유통 시기가 겹치지 않는 것이 최고의 장점입니다. 따라서 고품질의 키위를 생산해 수출시장을 공략한다면 수출농산물로의 성장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키위, 키위 수출, 키위 수출현황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