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0
열과 현상 설명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50
질문내용
과실 열과 현상에 대해 알려주세요.
답변
- 열과는 내부 생장과 외부 생장의 다를 때 내부의 압력을 견디지 못하여 발생하는데 착과 후 저온으로 발육이 일시 정지된 후 고온으로 급속히 비대할 때 열과가 발생합니다. 열과는 착과 수가 적고 초세가 너무 강한 경우, 가뭄이 계속된 후 비가 오거나 다량의 관수를 갑자기 하여 급속히 생장할 때와 과실 비대 후기에 토양이 건조한 상태에서 다량의 관수를 할 경우, 어린 과실 비대기에 인산비료를 과용하거나, 가뭄 후 추비를 너무 많이 주면 일시적으로 비효가 높아져 열과가 증가합니다. 또한 과피가 얇은 품종이나 육질이 연한 품종은 비교적 열과가 심합니다.
- 열과의 방지대책으로는 토양수분의 급격한 변화를 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므로 적절한 관수로 항상 적습 상태를 유지해 줍니다. 퇴비를 많이 시용하고 토양을 깊이 갈아 통기성을 좋게 하여 뿌리가 깊고 넓게 뻗도록 토양관리를 잘하여 수분과 양분이 잘 흡수되도록 하며, 저온기 재배 시 야간 저온으로 인하여 어린 과실에 열과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보온에 유의해야 합니다. 과피가 얇은 품종이나 육질이 연한 품종, 소 과일 종류 등은 비교적 열과가 심하므로 이를 고려해서 선택하고, 가뭄이 계속되다가 갑작스럽게 많은 비가 오거나, 구름이 많이 끼다가 햇빛이 강하게 나면 열과가 잘되므로 신문지나 짚으로 해를 가리면 열과를 다소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열과의 방지대책으로는 토양수분의 급격한 변화를 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므로 적절한 관수로 항상 적습 상태를 유지해 줍니다. 퇴비를 많이 시용하고 토양을 깊이 갈아 통기성을 좋게 하여 뿌리가 깊고 넓게 뻗도록 토양관리를 잘하여 수분과 양분이 잘 흡수되도록 하며, 저온기 재배 시 야간 저온으로 인하여 어린 과실에 열과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보온에 유의해야 합니다. 과피가 얇은 품종이나 육질이 연한 품종, 소 과일 종류 등은 비교적 열과가 심하므로 이를 고려해서 선택하고, 가뭄이 계속되다가 갑작스럽게 많은 비가 오거나, 구름이 많이 끼다가 햇빛이 강하게 나면 열과가 잘되므로 신문지나 짚으로 해를 가리면 열과를 다소 방지할 수 있습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과실, 열과, 열과 현상, 과실 열과, 과실 열과 현상, 과실 열과 설명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