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상단으로
상단으로
  • 80
  • FAQ

자료마당

국민의 행복을 함께 만들어 갑니다.

과수원잡초 관리 방법

  • 작성일 : 2024-12-04
  • 조회수 : 252
질문내용

과수원 잡초는 어떻게 관리해야 하나요?

답변
- 과수는 일반적으로 대형 목본 작물이므로 잡초보다는 뿌리 분포가 넓어서 직접적인 잡초피해는 적습니다. 수량 감소는 없어도 잡초 관리에 소홀하면 양분과 수분 경합이 일어나 나무가 쇠약해지고 품질이 떨어집니다. 특히 천근성(淺根性, 뿌리가 얕게 분포) 포도나 소형 과수는 잡초의 영향을 받기 쉽습니다. 노동력 감소로 부초(敷草, 풀 덮기) 등으로 깔기도 어렵고, 경사지 과원에서는 토양유실이나 사면지(斜面地) 붕괴가 우려되어 잡초의 완전 방제는 오히려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기와 장소에 따라 잡초를 생육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 청경(淸耕) 관리는 제초제를 쓰거나 자주 예초(刈草, 풀 깍기)하여 잡초를 없애는 관리법입니다. 잡초와 작물 간의 양분과 수분경합이 생기지 않은 효과가 있지만, 많은 노력이 들고 토양 입단화가 어려워지고, 토양유실, 부식 함량 감소, 토양 완충능 저하가 우려됩니다.
- 초생재배 하는 배밭과 사과밭에서는 잡초가 도움이 됩니다. 초생관리는 적극적으로 목초를 재배하거나 자연 발생하는 잡초를 이용하여 지표면을 피복하는 방법입니다. 침식방지, 예초 후 부초(敷草)로 이용, 토양유기질 보급, 토양 이화학성 유지의 효과가 있습니다. 초생법은 잡초 방임이 아니고 예초가 필수입니다. 특히 적과(摘果, 열매솎기), 약제살포, 수확 등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예초를 하고, 병충해 발생이 촉진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전면초생법은 양분과 수분 경합을 일으킬 수도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부분초생법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기관 | 농촌진흥청
키워드 | 과수원 잡초, 과수원 잡초 관리, 과수원 잡초 관리 방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